‘재화’는 욕망을 채워주는 거임
즉, 내가 사고 싶은 에어포스부터, 스윙스가 3대운동 멋지고, 잘하고 싶어서 산 비싼 벨트, 피자, 치킨 등등.. 욕망을 채워주는 것들 있음. 그게 재화임
근데 또 재화는 위 예시처럼 눈에 보이는 것만 있는게 아님. 왜냐면 우리 욕망은 눈에 보이는 것만 추구하지 않기 때문임. 누가 음료를 대신 만들어주면 좋겠고, 누가 대신 일을 해주면 좋겠고, 좀 더 편안하고 싶고 등등 다양한 욕망이 있음. 즉 눈에 보이지 않는 것도 욕망임
근데 이 재화는 보통 돈으로 살 수 있음. 근데 또 돈을 얻으려면 재화를 팔아야함. 근데 이 재화라는 건 하늘에서 톡하고 떨어지는게 아님. 그래서 각자의 방법으로 투자를 해서 재화를 만들거나 구해야함. 누군가를 자기자신에게 투자를 하고, 기업을 예시로 들면 생산설비를 갖추고, 원료와 인력을 활용해 재화를 생산해낸다.
이렇게 재화를 구하고 다시 파는 모든 과정에서 투자, 구매, 소비, 고용, 생산, 판매 등 많은 과정이 일어나는데 이를 ‘경제’라한다.
재화 : 욕망을 채워주는 물건
- 눈에 보이는 것 - 옷, 음식, 차
- 눈에 보이지 않는 것 (용역이라고도 함) - 미용 서비스, 발렛파킹, 보험
재화를 주로 돈을 통해 구할 수 있음
- 대부분 재화가 시장에서 돈을 매개로 매매되기 때문
- 돈으로 재화를 유통하는 사회에서 돈만 있으면 거의 모든 재화를 얻을 수 있음
돈은 어디서 구하는가?
- 재화를 만들거나 구해서 시장에 판매함으로써
재화를 얻기위해 벌이는 투자, 구매, 고용, 생산, 판매, 소비활동을 묶어서 경제라고 함
728x90
반응형
LIST
'사업가,투자자 > 독후감' 카테고리의 다른 글
텐타시온이 말했던 "끌어당김의 법칙"을 잘 하는 방법 (0) | 2022.07.14 |
---|---|
성공을 하는 방법을 알려주는 책 "시크릿"의 명언 모음 (1) (0) | 2022.07.14 |
쉽게 이해하는 미시경제, 거시경제 / 실물경제, 금융경제 (1) (0) | 2022.05.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