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는 글을 쓴다! 라는 생각을 할때 번뜩 머릿속을 꽉 채우는 생각이 있다.
"어 그거 기승전결이잖아. 학교에서 배움 ㅋ 기가 그거고 승이 여튼 그거"
또는
"서론 본론 결론 아입니까"
(실제로 내 주변 친구의 말투다)
맞다 우리에게 친숙하면서도 아주 효과적이기로 유명한 글쓰기 구조이다.
오늘은 그 기승전결과 서론 본론 결론에 대해 알아보겠다.
기승전결
기 : 시작하는 부분
승 : 전개하는 부분
전 : 전환하는 부분
결 : 끝을 맺는 부분
서론 - 본론 -결론 : 지식을 담거나 논리적인 글쓰기에 많이 사용된다.
서론 : 문제제시
본론 : 주장과 근거
결론 : 논의 요액
자세히
기승전결 : 교훈을 많이 담는 경우가 많다.
기
- '일어날 기'라는 뜻의 한자어다. 말 그대로 시작을 뜻한다. 문제를 제시할 수도 있고, 새로운 사건의 시작일 수도 있고, 새로운 인물의 등장일 수도 있다.
승
- ' 받들 승'이며 '기'의 내용을 이어받아 이야기를 진행한다.
전
-반전 포인트!, '변할 전'이라는 한자어이다.
결
- '맺을 결' 결론과 비슷한 느낌이
기승전결과 서론 본론 결론은 비슷한 구조인듯하면서도 '전'이라는 부분의 차이가 있는 듯하다.
기승은 서론 결은 결론,
말과 글의 힘을 알기에
우리는 더 공부하고 잘 써야합니다
화이팅
728x90
반응형
LIST
'creator'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이목을 집중시키는 카드뉴스를 만드는 방법 (0) | 2022.07.14 |
---|---|
지식을 담은 매력적인 글쓰기 (2) (0) | 2022.04.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