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creator/문제해결

4차 산업혁명과 미래인재의 능력

by 지식청소부 2022. 4. 20.

4차 산업혁명은 AI, 초연결화, 초지능화, 기술융합이 핵심인 산업 혁명이다. 

빠른 시대의 흐름에 따라 하나의 직업을 평생직업으로 삼는것이 아닌 직업과 직무 또한 다양한 방향성을 띄고 있다.

3 - 5 - 19

일생동안 3개 이상의 영역에서

5개의 직업을 갖고

19개 이상 서로 다른 직무를 경험

4차 산업은 본인이 원한다면 위와 같이 직업도 다양하게 가질 수 있는 산업형태이다. 물론 개인의 노력이 많이 필요할 것이다. 


미래 직업을 예측한다면?

  • 2018년 이후, 종업원보다 스마트기기가 많은 회사가 50%에 이를것이라고 한다. 
  • 전세계 아이들의 절반이상이 지금 없는 직업을 갖게 될 것이다. 
  • 2030년 현 일자리가 스마트 기계로 90%대체된다고 한다. 
즉 다가올 미래는 불확실성이 증가한다. 

  • 국내로 따지면 대기업 종사자의 비율이 빠르게 낮아지고 있다. 


그렇다면 4차 산업혁명시대에서는 어떤 인재가 필요할까?

지식보다 중요한 "생각의 힘"

4C가 필요하다. 

Critical thinking : 비판적 사고

Creativity : 창의성

Communication skill : 소통능력

Collaboration : 협업

추가적으로 

자신감과 컨텐츠가 필요하다.

Confidence & Contents


Critical Thinking : 비판적 사고

정보의 근거를 평가하고 확인하는 사고 활동이다. 

어떤 주제나 아이디어를 주의 깊게 생각하는 과정이다.

Critical Thinking은 믿어야 할 것과 행동해야 할 것을 합리적으로 결정하는 과정이다.
- Robert H. Ennis- 

 


Communicate Skill : 소통 능력

정확하고 간결하게

의사소통 기술은 듣기, 말하기, 관찰 및 공감, 쓰기(리포트) 등이 포함된다. 

 

하지만 우리는 평소에 

1. 우리가 듣는 것의 25%만 집중해서 듣거나

2. 75%는 금방 잊거나 필터링해서 자기생각대로 해석하거나

3. 근로시간의 50%는 의사소통을 하며 시간을 소비한다.

4. 비즈니스 성공의 85%는 효과적인 커뮤니케이션에 달려있으며

5. 개인적인 시간의 45%는 듣는데 사용한다.

6. 직장에서 일어나는 오류의 70%는 소통의 부재로 발생한다.

 


Creativity : 창의성

독창적이고 실용적인 (고객의 needs에 만족하는) 것을 비교 대상 집단보다 먼저 제시할 수 있는 능력이다. 

 

팀 단위 활동을 하게 되면 집단지성을 활용하게 된다.

집단지성의 활용으로 더 효과적으로 빠르게 창의성을 발현할 수  있다. 

 

4차산업혁명에서 교육방향은?

자기생각을 정리, 표현하며, 서로 소통하는 학습이 필요하다.

 

끊임없이 문제를 제기하고 호기심을 키우는 학습이 필요하다.

 

토론을 통해 타인을 이해하고 생각의 힘을 키우는 학습이 필요하다. 

 

비판과 창의성, 소통과 협력을 이끌어내는 학습이 필요하다.

728x90
반응형
LIST